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제도 설명에 이어 근로자가 감면을 적용받으려면 어떻게 신청하는지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근로자 신청방법
● 작성서류 : 감면을 적용받으려는 근로자는 회사에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● 제출기한 : 취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말일까지 제출
- 소득세 감면 신청기한 경과 후에 제출하더라도 감면 적용 가능합니다.
취업 당시 감면신청서를 신청기한 내 제출하지 못하고 신청기한이 지났더라도
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은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이경우에도 취업일로부터 소급하여 감면을 적용받습니다.
● 첨부서류 : 아래 관련서류를 첨부해서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.
- 병역증명서 등 병역복무기간을 증명하는 서류
- 장애인등록증, 수첩, 복지카드 등의 사본
- 중소기업 취업 감면을 적용받은 청년이 다른 중소기업에 취업하거나 해당 중소기업에 재취업하는 경우
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
퇴사한 후에 감면신청
● 중소기업에 근무하다가 퇴사한 후에 감면제도를 알게된 경우
● 감면신청서를 작성하여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직접 환급신청(경정청구)이 가능합니다.
퇴직한 회사가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지 않는다면
● 전에 다니던 회사에 감면신청서를 제출했지만, 회사에서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
● 퇴직한 근로자는 근로자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직접 감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감면신청서 작성방법
● 특별히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만 아래 취업시 연령 기재하는 칸이 조금 생소하죠
● 연령 기재하는 칸이 '년월일'로 적도록 되어있습니다.
● 보통 나이만 계산하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를 모를수 있습니다.
● 취업한 날 연령은 네이버 등에서 '날짜계산'으로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계산하는 도구가 나옵니다.
- 위쪽의 기준일은 생년월일로, 가운데는 일수가 아닌 연월일을 체크하시고 취업일을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'세금 관련 기타 >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득세 90% 감면 혜택을 꼭 받으세요 -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(0) | 2023.06.28 |
---|